[Youtube] Mini Masterclass: How to Write a CHI Paper
Based on Prof. Lennart Nacke’s YouTube lecture, “Mini Masterclass: How to Write a CHI Paper.”
1. CHI 학회란
- CHI(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)는 인간-컴퓨터 상호작용(HCI)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국제 학회다.
- 매년 약 4 000편이 넘는 논문이 접수되며, 평균 채택률은 26 % 수준에 머문다.
- Google Scholar가 제공하는 H-index가 129에 달하므로, 다수의 최상위 저널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인용도를 자랑한다.
- 22개 sub committee가 운영되며, 전통적 HCI부터 UX·게임·Health·AI까지 다양한 세부 영역을 포괄한다.
2. 논문 형식 및 분량
- Short paper는 5 000단어 이하로 집약적 기여를 요구하며, 기존에는 ‘Note’라 불렸다.
- Full paper는 8 000±1 000단어 분량으로 가장 일반적이며, 실험 두세 개 수준의 실질적 증거 제시가 권장된다.
- Excessively long paper는 12 000단어 이상일 때 분류되며, 리뷰어에게 가중되는 부담을 정당화할 수 있을 만큼 심층적·종합적 기여를 입증해야 한다.
- 2024년부터는 5분 내외의 동영상 요약 제출이 의무화되었으므로, 시각적 스토리텔링 능력도 필수 역량이 되었다.
3. CHI 리뷰 기준
- Originality는 주제·방법론·데이터가 얼마나 참신한지를 평가한다.
- Significance는 연구가 학문적·실무적으로 미치는 잠재적 영향력을 측정한다.
- Research Quality는 실험 설계·데이터 수집·통계 분석의 신뢰도와 타당성에 초점을 맞춘다.
- Handling of Prior Work는 선행연구를 올바르게 해석·비교하면서 연구 간 갭을 논리적으로 제시했는지를 본다.
- Presentation은 글의 구조·가독성·도표 품질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. 명료한 제목·초록·시각 자료가 점수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.
4. 3 C 모델
- Context 단계에서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배경·중요성을 명확히 밝힌다.
- Content 단계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해 설계한 방법·시스템·실험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.
- Contribution 단계에서는 연구 결과가 가져올 학문적 진전·실무적 기회·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.
- 세 단계가 선형이 아니라 상호 보강 관계를 이루어야 논리적 흐름이 자연스럽다.
- 각 단계를 서론·본론·결론에 대응시켜 작성하면 독자가 메시지를 쉽게 추적할 수 있다.
5. 아워글라스 & IMRaD(+R)
- CHI 논문은 넓은 문제 제시 → 좁은 분석 → 넓은 해석으로 이어지는 아워글라스 구조를 따른다.
- 이는 ‘IMRaD(Introduction–Methods–Results–and–Discussion)’ 형식과 대응되며, HCI에서는 Related Work가 서론 바로 뒤에 별도 섹션으로 배치된다.
- 서론에서 관심을 끈 후 Method·Results에서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고, Discussion에서 다시 큰 그림으로 확장해 의의를 강조함으로써 설득력을 높인다.
- 논문 길이가 길어질수록 섹션 간 균형이 중요하므로, 각 파트의 분량을 25 % 이내로 유지하는 것을 권장한다.
6. 초록 7문장 공식
- 연구 맥락을 한 문장으로 제시한다.
-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·갭을 명확히 설명한다.
- 해당 문제의 중요성을 수치나 사례로 뒷받침한다.
- 접근법·연구 설계를 간결히 소개한다.
- 무엇을 했는지(데이터·실험 조건)를 구체적으로 언급한다.
- 가장 핵심적인 결과를 수치·통계와 함께 제시한다.
- 연구가 제공하는 기여·시사점을 요약하여 마무리한다.
7. 준비 타임라인
- D-12 개월: 연구 질문 도출, 윤리(IRB) 승인 신청을 완료한다.
- D-10 ~ 5 개월: 실험 프로토타입 제작 후, 여름 방학 기간을 활용해 데이터 수집·1차 분석을 마무리한다.
- D-4 ~ 3 개월: 결과를 바탕으로 논문 초안을 작성하고 내부 피드백을 받는다.
- D-2 ~ 1 개월: 최소 두 차례 집중 리비전 및 교정을 진행한다.
- D-0 개월(9월 중순): 최종 원고·보조자료·동영상 제출을 완료한다.
8. LLM 활용 가이드
- ChatGPT, Claude, Gemini 등의 생성형 AI는 초안 문장 다듬기·도입부 아이디어 발산에 유용하다.
- Consensus·Scite·Elicit 같은 AI 기반 학술 검색 도구를 사용하면 선행연구 메타데이터를 빠르게 수집할 수 있다.
- AI가 제시한 인용은 반드시 DOI·PDF 원문을 확인해 사실성을 검증해야 한다.
- 연구자는 통계 분석과 코드 실행 결과를 직접 재현함으로써 연구 신뢰도를 확보해야 한다.
- AI 활용 내역은 ‘Method’나 ‘Acknowledgements’에 투명하게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9. Q&A
- “준비를 언제 시작해야 하나?” → 학회가 끝나는 즉시 다음 사이클을 준비하면 IRB 지연을 피할 수 있다.
- “Discussion을 설득력 있게 쓰려면?” → 결과와 선행연구를 1:1 대응시키고, 실무 적용 가능성이 높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.
- “LLM 사용으로 통과가 더 어려워지나?” → 문체는 부드러워질 수 있으나, 근거 부족·과대 해석은 리뷰어에게 즉시 지적되므로 데이터 품질이 관건이다.
10. 최종 체크리스트
- 문제 정의와 의의가 분명한가?
- 연구 질문·방법·결과가 논리적으로 이어지는가?
- 최신·핵심 선행연구를 충분히 참고했는가?
- 3 C 구조가 서론과 결론에서 선명하게 드러나는가?
- 결과를 설명하는 표·그래프가 직관적인가?
- 한계·윤리·미래 과제를 솔직히 적시했는가?
- 데이터·코드·영상 등 보조자료를 공개할 준비가 되었는가?
- 마감 2주 전 전체 교정·포맷 점검을 마쳤는가?
Leave a comment